가수 이홍기가 “곪아서 피가 철철나고, 고름이 철철 났어요. 여벌 속옷을 들고 다닐 정도로 심각했어요.” 라고 자신이 격은 증상을 털어놨던 화농성 한선염은 희귀 만성 염증성 피부 질환인데 이 질환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화농성 한선염 증상
화농성 한선염은 반복적으로 피부에 붉은색의 종기가 나타나고 종기가 터지면서 고름이 나오고 흉터가 생기게 됩니다. 주된 증상은 붉은 여드름같은 융기, 깊은 결절 및 낭종, 종기 등이 있고, 만약 악화되면 악취가 나는 고름이 만들어지거나 흉터가 짙어 지고 다른 피부염을 유발 할 수도 있습니다.
화농성 한선염 원인
화농성 한선염은 땀샘의 세균 감염으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피부와 피하 조직에 만성 재발성 염증을 일으키며 주로 겨드랑이, 사타구니에서 발생하며 항문 주위, 외음부, 유방 부위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 원인균은 포도상구균입니다.
화농성 한선염의 발생에 기여하는 요인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호르몬의 변화
- 유전학
- 흡연
- 초과 중량
- 통기성이 없는 소재의 꽉 끼는 옷
또한, 특정 식품들이 화농성 한선염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이에는 유제품, 설탕이 많은 음식, 단순 탄수화물, 맥주 효모가 들어간 음식 등이 포함됩니다. 흡연, 담배 사용, 체중 증가 또는 비만도 화농성 한선염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화농성 한선염 진단
화농성 한선염의 증상은 여성의 경우에 겨드랑이, 남성의 경우에 사타구나 항문 주위에 잘 발생하며, 붉은색의 단단한 종기로 시작해서 시간이 흐름에 따라 물렁 물렁한 종기로 변합니다. 초기에는 여드름에서 볼 수 있는 면포가 보이는 것이 특징이며, 압통도 있을 수 있습니다. 홍반성 결절이 보이며 장액농성 물질을 분비하여 만성적으로 재발하는 경과가 나타납니다. 고름 주머니끼리 연결되는 누도가 만들어져 벌집 모양이 됩니다. 한선염이 아주 심한 경우에는 안면부의 응괴성 여드름이나 두피의 박리성 봉소염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화농성 한선염은 삼출물 배양 검사, 혈액 검사, 갑상선 기능 검사를 통해 진단합니다. 치료의 기본은 배농이며, 때에 따라 항생제와 호르몬 치료를 병행하기도 합니다. 부신 피질 호르몬제의 병변 내 주사, 외과술, 경구 항생제 및 이소트레트노인이 병용됩니다.
화농성 한선염 치료
화농성 한선염을 완치할 수 있는 치료방법은 아직 존재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통증이 심한 염증성 병변이 생기는 것을 최소화하고 일상생활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것이 이 질환의 치료 목표입니다.
치료방법은 환자상태에 따라 단계적으로 이뤄지며,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약물을 사용합니다.
- 항생제
- 비타민A제제
- 스테로이드제
- 여성호르몬제
- 면역억제제
만성적으로 재발하는 경우에는 절개배농, 절제술 등의 수술을 시행하며, 화농성 한선염을 악화시키는 식품을 피하는것이 중요합니다.
피해야 할 음식
화농성 한선염을 악화시키는 식품들은 특정 수준의 호르몬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제품들로 다음과 같습니다.
- 유제품 : 우유, 치즈, 버터, 요구르트 등
- 단순 타수화물 : 설탕, 감자 칩, 옥수수 시럽, 국수 등
- 맥주 효모 : 간장, 맥주, 와인 등
- 기름이 많은 음식 : 튀김류, 피자 등
- 설탕이 많은 음식 : 케이크, 과자, 아이스크림 등
- 흡연과 담배
이러한 제품들을의 섭취를 줄이고 신선한 야채와 과일 섭취를 늘이고 매일 같은 것을 먹지않고 편의 식품 및 가공 식품을 피하는것이 가장 좋습니다.
마치며
화농성 한선염은 환자도 적고 잘 알려져 있지 않아서 조기진단에 어려움을 격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조기 치료시 경과가 좋기 때문에 전문가의 지시에 따라 빠르게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