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이 다를까? 삼성 디스플레이 QD-OLED 와 OLED 차이점

삼성 디스플레이는 2023년 12월 모니터용 QD-OLED를 양산을 시작합니다. QD-OLED는 자발광 모니터 중 가장 높은 수준의 화소 밀도와 UHD 해상도를 구현했고, 유해한 블루 라이트를 최소화하면서도 순도 높은 컬러를 제공합니다. QD-OLED는 ‘아이세이프 인증 2.0’과 ‘아이케어 디스플레이’ 인증을 모두 획득한 눈 건강 관리 측면에서도 우월한 디스플레이입니다.

그럼 먼저 QD-OLED는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QD-OLED란?

QD-OLED는 삼성 디스플레이가 개발한 새로운 디스플레이 기술이며 QD-OLED는 퀀텀닷(QD)을 활용하여 빛을 내는 디스플레이로, 넓은 색재현력, 높은 명암비, 효율적인 빛의 활용을 갖춘 제품입니다. QD-OLED는 발광원에서 생성되는 Blue 빛의 색순도가 매우 높아, 이 빛을 받아 컬러를 표현하는 Red, Green QD 역시 높은 색순도의 컬러 빛을 만들어줍니다. 색순도 높은 RGB는 넓은 범위의 색표현이 가능합니다.

삼성 디스플레이 QD-OLED는 현재 소니가 세계 최초로 출시한 TV 모델인 ‘브라비아 A95K’에 탑재되어 있으며, 소니 QD-OLED TV에 대한 호평이 많으며, 가격 경쟁력도 강점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QD-OLED 모니터 종류

UHD 와 QHD 두 가지 모델로 출시 될 예정입니다.

  • 31.5형 UHD 모델 – 140ppi의 고밀도 화면을 제공
  • 27형 QHD 모델 – 360Hz의 고주사율과 0.03ms의 빠른 응답속도를 가지고 있어 게이밍에 적합

이외의 추천 모니터

  • 오디세이 OLED G9 – OLED 패널을 탑재한 게이밍 모니터이며 듀얼 UHD해상도와 240Hz 주사율 지원
  • 뷰피니티 S9 – 5K 고해상도 모니터로 영상 작업에 적합
  • 스마트 모니터 M8 – TV와 같은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갤럭시 기기와 쉽게 연동된다

QD-OLED와 OLED의 차이점

QD-OLED와 OLED는 유기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기술이며, 유기발광 다이오드는 스스로 빛을 내는 소자로, 백라이트 유닛이나 액정 등 LCD에서 사용하는 부품을 필요없음으로 인해 구조가 단순하고 효율적이며, 명암비, 응답속도 등의 성능이 높아집니다.

QD-OLED와 OLED는 광원과 컬러필터에서 차이점을 보이는데, QD-OLED는 삼성 디스플레이가 개발한 새로운 디스플레이 기술로, 퀀텀닷(QD)을 활용하여 빛을 내는 디스플레이입니다. QD-OLED는 광원으로 청색 빛을 내고, 그 위에 파란색과 빨간색 퀀텀닷으로 RGB를 표현합니다. 이렇게 해서 색 재현율이 높은 RGB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OLED는 LG 디스플레이가 개발한 디스플레이 기술로, WOLED라고도 하며, WOLED는 소자에서 나오는 하얀색 빛에 빨강, 파랑, 초록의 3원색 컬러 필터를 덧씌워서 색을 구현합니다. 이 방식은 QD-OLED보다 컬러필터가 많아서 색상의 다양성과 세밀함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QD-OLED와 OLED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QD-OLED는 광원으로 청색 빛을 내고, RGB를 표현하는 반면, OLED는 백색 빛을 내고, 3원색 컬러 필터를 사용합니다.
  • QD-OLED는 색 재현율이 높은 RGB를 구현할 수 있으며, 순도가 높은 색상을 제공합니다. OLED는 컬러필터가 많아서 색상의 다양성과 세밀함을 제공합니다.
  • QD-OLED는 양자점(Q)과 같은 최신 기술을 활용하여 발광 속도와 에너지 효율성도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OLED는 양자점(Q)과 같은 기술을 아직 활용하지 않았습니다.

삼성 디스플레이에서 QD-OLED 이외에 개발한 기술

삼성 디스플레이에서 QD-OLED 이외에 개발한 기술은 다음과 같습니다.

  • 플렉서블 OLED: 삼성 디스플레이는 세계 최초로 플렉서블 OLED를 양산하는 기업이며, 플렉서블 OLED는 스마트폰의 전면을 디스플레이로 사용하는 디자인으로, 스크린이 없는 전면을 가진 스마트폰을 만들 수 있습니다.
  • 폴더블 OLED: 삼성 디스플레이는 폴더블 OLED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폴더블 OLED는 스마트폰의 전면과 후면을 디스플레이로 사용하는 디자인으로, 스크린이 없는 전면과 후면에도 확장 가능한 환경을 제공합니다. 
  • UPC (Ultra Thin and Flexible Display): 삼성 디스플레이는 UPC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UPC는 매우 얇고 유연한 디스플레이로, 스마트워치나 태블릿 등 다양한 제제품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UPC는 LCD보다 두 배나 얇고, LCD보다 10배나 유연하며, LCD보다 100배나 저전력입니다.
  • ECO² OLED: 삼성 디스플레이는 ECO² OLED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ECO² OLED는 에코 스퀘어 OLED의 한층 향상된 저전력 기술로, 패널 소비전력을 최대 25%까지 절감할 수 있습니다. ECO² OLED는 빛 투과율을 33% 높여 같은 밝기에서도 패널 소비전력을 최대 25%까지 절감할 수 있는 획기적인 저전력 기술로 꼽힙니다.

마치며

신규 고객사 확보로 24년 모니터용 출하량 2배 성장 전망인 삼성 디스플레이의 QD-OLED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