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대의 특징
성충은 5mm ~ 6mm의 크기로 납작하게눌린 타원성충은 5mm ~ 6mm의 크기로 납작하게 눌린 타원형 형태로 진한 갈색을 하고 있으며 피를 빨아 생명을 유지하는 불쾌곤충으로 전세계에서 발견되고 있습니다. 감염병을 옮기지는 않지만 미칠듯한 가려움증과 반점을 발생 시키고 수면방해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빈대는 성충과 약충으로 구분되는데 약충은 5회의 탈피를 거치며 성충이 됩니다.
빈대는 사람의 잠자리 근처 주로 침대 주위에 서식하고, 어두운 밤에 주로 나타나 흡혈 활동을 하고 하루에 2~5개의 알을 낳으며 암수 모두 1주일에 1~2회 흡혈하며 10분간 몸무게의 2~6배 흡혈을 합니다.
빈대의 서식지
빈대는 빛을 싫어하고 침대 매트리스의 갈라진 틈새나 침대 프레임, 쿠션, 벽 틈새 등 작고 얇은 틈에 숨어서 서식하고 야간에 수면 중인 사람을 흡혈하기 때문에 사람이 잠을 자는 위치에서 주로 발견 됩니다.
빈대 예방
- 빈대가 서식하기 좋은 틈새를 정기적으로 확인해야 합니다.
- 중고 가구를 들 일 때에는 빈대가 있었던 흔적을 잘 살펴보아야 합니다.
- 여행 중 빈대를 발견했다면 여행 용품은 밀봉하여 장기 보관하고 고온 건조 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 빈대가 발견되지 않더라도 방바닥이나 침대에 짐 등을 보관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 빈대가 발견되면 발견된 지점을 중심으로 스팀 고열, 진공청소기로 흡입하고 , 건조기를 이용해 물품을 고온 건조하는 것이 좋습니다.
빈대에 물렸을 때
- 물린 부위를 깨끗이 씻는다.
- 가려움증 완화를 위해서 항히스타민제나 코르티코스테로이드 크림을 사용한다.
- 가려움증이 심하다면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 빈대에 물렸다면 빈대가 퍼지지 않게 방을 청소하고, 침구류는 뜨거운 물로 세탁하는 것이 좋습니다.
- 가려움때문에 자주 긁으면 피부에 상처가 생기면서 2차 감염이 생길 수 있으니 긁지 않도록 합니다.
- 2차 감염이 일어났다면 빠르게 항생제 연고를 바르는 것이 좋습니다.
빈대 감염 경로
여행, 숙박, 방문, 중고 물품, 공동체 생활 등 다양한 경로로 빈대가 옮겨지고 번져가는데 호텔이나 모텔같은 숙소, 친지나 친구의 집 등 감염된 장소를 방문하는 하는 것이 감염의 큰 위험 요인입니다.
방제 방법
- 물리적 방제 – 침대주변을 정리하고 빈대 오염 직물을 세탁후 50도 이상 온도로 30분 이상 건조하거나 밀봉후에 -20도 미만으로 냉각하고 고열 스팀으로 청소하고 진공청소기로 흡입 및 표면 세척을 하고 매트리스, 벽 틈 등의 균열 틈새를 보수한다.
- 화학적 방제 – 서식처 확인후 환경부 승인 빈대용 살충제를 사용한다. 살충제는 생활환경안전정보시스템 초록누리 (https://ecolife.me.go.kr) 에서 검색 가능합니다.
마치며
최근 국내에서도 빠르게 전국으로 확산되고 있는 빈대의 특징과 예방 그리고 감염경로 및 방제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